건설 안전/안전

[안전보건공단 - 산업안전보건교육] 화재 등 재난관리 : 정답 및 해설 3탄

Hei_D 2022. 7. 11. 08:27

 

1. 수계소화설비의 가송송수장치 중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가압송수장치는?

 

1) 고가수조방식

2) 압력수조방식

3) 가압수조방식

4) 펌프방식

 

정답 4번

해설 고가수조방식, 압력수조방식, 가압수조방식, 펌프방식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펌프를 이용한 가압송수장치를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2. 수원의 규정 방수 시간으로 옳은 것은?

 

1) 29층 이하 : 20분

2) 30~39층 : 30분

3) 40~49층 : 50분

4) 50층 이상 : 70분

 

정답 1번

해설 30~49층 : 40분

        50층 이상 : 60분

 

 

 

3. 알칼리 금속 등의 화재 발생 시 소화설비로서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물 분무 소화설비

2) 팽창질석

3) 건조소화분말

4) 건조사

 

정답 1번

해설 알칼리금속은 금수성물질이므로 물분무소화설비는 부적합하다.

 

 

 

4. 연소의 3요소가 아닌 것은?

 

1) 가연물

2) 산소공급원

3) 질소

4) 점화원

 

정답 3번

 

 

 

5. 옥내소화전함의 설치기준으로 부적합한 것은?

 

1) 사용요령 기재한 표지판 설치

2) 적색의 기동, 위치표시등 설치

3) 호스는 65mm 이상 규격 사용

4) 관창 및 결합금속구 비치

 

정답 3번

해설 옥내소화전 호스는 40mm 이상(호스릴 : 25mm 이상) 사용한다.

 

 

 

6. 옥외소화전함 설치기준으로 부적합한 것은?

 

1) 옥외소화전 3m 이내에 소화전함 설치

2) 옥외소화전 10개 이하의 경우 옥외소화전 마다 1개 이상 소화전함 설치

3) 옥외소화전 11개 이상 30개 이하의 경우 11개 이상의 소화전함을 각각 분산 설치

4) 옥외소화전 31개 이상의 경우 옥외소화전 3개마다 1개 이상의 소화전함 설치

 

정답 1번

해설 옥외소화전설비에는 옥외소화전마다 그로부터 5m 이내의 장소에 소화전함을 설치하여야 한다.

 

 

 

7. 옥외소화전설비의 경우 소방대상물 각부분으로부터 호스접결구까지 수평거리와 사용되는 호스구경으로 적한한 것은?

 

1) 수평거리 25m 이하, 호스구경 32mm

2) 수평거리 25m 이하, 호스구경 40mm

3) 수평거리 40m 이하, 호스구경 65mm

4) 수평거리 75m 이하, 호스구경 65mm

 

정답 3번

해설 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호스접결구까지의 수평거리가 40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하고, 호스의 구경은 65mm의 것을 사용한다.

 

 

 

8. 위험물을 취급하는 장소에서 열적점화원에 대한 화재예방대책을 나열한 것이다. 이중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주변장소에 인화성물질을 격리한다.

2) 화재를 감시하고, 비상시 신속한 대응을 위하여 화재감시자를 배치한다.

3) 위험분위기 형성 시 점화원이 되지 않도록 방폭구조 전기기계기구를 설치한다.

4) 화재를 대비하여 불티받이포, 소화기 등 소화용구를 비치한다.

 

정답 3번

해설 방폭구조전기기계기구는 전기적검화원에 대한 대책임

 

 

 

9. 위험물을 취급하는 산업현장에서 화재 발생 시 점화원으로 작용한 것 중 가장 사고 발생비율이 높은 점화원은 어느 것인가?

 

1) 열적 점화원

2) 기계적 점화원

3) 전기적 점화원

4) 정전기

 

정답 1번

해설 점화원의 화재 발생 비율 순서는 열적 > 전기적 > 기계적 점화원이다.

 

 

 

10. 응급처치 시행자의 행동수칙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신속한 연락과 처치 시행

2) 의료기구나 의약품을 사용하여 조치

3) 현장조사 시 본인의 안전 우선확보

4) 응급처치 전 재해자 동의를 득하여야 함

 

정답 2번

해설 응급처치는 전문의료인력이 도착하기 전까지 시행되는 행위며, 의료기구나 의약품의 사용은 의료기관 후송 후 이루어져야 할 조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