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설 안전/안전

[안전보건공단 - 산업안전보건교육] 산업보건1 : 사무직근로자 보건관리 2탄

by Hei_D 2022. 5. 4.

 

 

1. 유해요인조사 흐름도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부담작업 파악유해요인조사-유해도평가-개선

2) 유해요인조사-유해도평가-부담작업 파악-개선

3) 유해도평가-유해요인조사-부담작업 파악-개선

4) 부담작업 파악-유해도평가-유해요인조사-개선

 

정답 1번

해설 유해요인조사 실시 전 부담작업 여부를 파악하며, 유해요인 조사-유해도평가-작업환경개선의 순서로 실시한다.

 

 

 

2. 근골격계질환 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법에 의한 임시건강진단에서 근골격계질환자가 발생하면 수시조사를 실시한다.

2) 유해요인조사는 반드시 외부 전문기관의 전문가에게 의뢰해야 한다.

3) 작업상황 및 조건에 대한 조사와 근골격계질환 증상조사를 모두 실시하여야 한다.

4) 정기조사는 최초 유해요인조사 실시 후 매 3년에 1회씩 정기적으로 실시한다.

 

정답 2번

해설 일반적으로 보건관리자 및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 추진팀 등 사업장 내부에서 조사자를 선정하여 실시한다. 다만 선정이 곤란한 경우에는 외부 전문기관이나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실시할 수 있다.

 

 

 

3. VDT작업환경 관리를 위한 적절한 기준이 아닌 것은?

1) 저휘도형 조명기구를 사용한다.

2) 실내는 명암의 차이가 심하지 않도록 한다.

3) , 벽면 등은 반사되지 않는 재질을 사용한다.

4) 눈부심 방지를 위해 빛과 화면의 각도는 90도 이상으로 한다.

 

정답 4번

해설 빛에 의한 눈부심 방지를 위해 빛과 화면의 각도는 45도 이내로 유지해야 함.

 

 

 

4. VDT작업시 올바른 작업자세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1) 화면 상단은 작업자의 눈높이보다 1015도 아래에 위치시킨다.

2) 의자에 앉을 때 깊숙이 앉으며, 무릎의 내각은 90도 전후가 되도록 한다.

3) 눈과 화면과의 거리는 30센티미터 이내로 배치한다.

4) 키보드 작업 시 키보드 기울기에 맞게 손목을 꺾은 상태로 작업한다.

 

정답 2번

해설 눈높이는 화면 상단과 일치하도록 하고, 눈과 화면과의 거리는 40센티미터 이상이 되도록 하며, 키보드 작업 시 손목이 꺾이지 않도록 아래팔과 손등을 수평을 유지하도록 함.

 

 

 

5. 컴퓨터 단말기 조작업무의 안전조치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실내 조명은 명암차이가 심하지 않도록 조절하여 사용한다.

2) 조명기구는 가급적 휘도가 낮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3) 책상과 의자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의 것을 사용한다.

4) 창은 자연광이 유입되도록 직사광선이 잘 들어오는 구조로 한다.

 

정답 4번

해설 , 벽면 등은 직사광선이 직접적으로 들어오지 않도록 반사되지 않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6. 다음 중 유해요인조사 시 작업장 상황조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작업공정 및 설비

2) 작업량

3) 작업속도 및 최근 업무 변화

4) 작업자세

 

정답 4번

해설 작업자세는 작업 조건조사에서 확인하는 항목이다.

 

 

 

7. 사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잠복기는 2~7일 정도이다.

2) 38도 이상의 발열, 무력감, 두통등이 발생한다.

3) 사스-코로나 바이러스가 호흡기를 침범하여 발생한다.

4) 백신이 개발되어 예방이 가능하다.

 

정답 4번

해설 사스에 대한 백신은 현재 개발되지 않았다.

 

 

 

8. 효과적인 직무스트레스 예방과 관리를 위한 조직적 개인적 차원의 관리 내용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직무스트레스로 예방을 위한 긴장이완기법, 호흡법, 심상훈련 등은 증상완화를 위한 자기 관리법에 해당한다.

2) 관리감독자는 평소 업무의 질, , 출근 등의 상태를 파악하고 개인에게 과중한 업무 부하가 집중되지 않도록 관리한다.

3) 근무시간 관리, 휴식시간 제공, 의사소통 창구 마련 등은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관리하기 위한 개인적 차원의 전략이다.

4) 평상시와 다른 근로자를 빨리 알아채고 조기 대응을 한다.

 

정답 3번

해설 근무시간 관리, 휴식시간 제공 등은 직무스트레스 예방을 위한 조직적 차원의 전력이다.

 

 

 

9. 한국형 직무스트레스 측정 도구를 이용한 직무 스트레스 요인 평가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평가 도구는 8개 영역에 43개의 설문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2) 물리환경 영역에서는 작업방식의 위험성, 공기 의 오염, 신체부담 등에 대한 평가항목이 있다

3)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평가 결과는 절대값 으로 평가 내릴 수 있다.

4)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상대적으로 많이 노출 된다고 해서 반드시 직무스트레스 증상이나 징후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정답 3번

해설 직무스트레스요인 평가 결과는 한국 근로자의 성별 중앙값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평가를 내릴 수 있다.

 

 

 

10. 다음은 직무스트레스 예방프로그램 진행순서에 맞게 열거하였습니다. ( ) 들어갈 단계는? ( ) 실행계획 수립 프로그램 시행 프로그램 평가 피드백

 

1) 작업 설계

2) 직무 개발

3) 업무 수행

4) 직무스트레스 요인 파악

 

정답 4번

해설 작업설계. 직무 개발, 업무수행은 예방프로그램 운영에 따른 영향이며,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가장 우선되어야 하는 것은 요인 파악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