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안전보건교육16

[안전보건공단 - 산업안전보건교육] 산업안전Ⅰ 기계, 전기안전 : 정답 및 해설 1탄 1. 감전방지를 목적으로 시설하는 누전 차단기의 종류로 옳은 것은? 1) 고감도 고속형 2) 중감도 고속형 3) 저감도 고속형 4) 고감도 시연형 정답 1번 해설 감전방지를 목적으로 시설하는 누전차단기는 고감도 고속형이다. 2. 감전의 위험성을 결전하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감전에 따른 위험은 통상적으로 교류보다 직류가 위험하다. 2) 고주파수에서 감전 발생 시, 저주파수에서 발생할 때보다 위험도가 높다. 3) 젖은 손은 건조한상태일 때 보다 인체저항 값이 낮아 감전의 위험이 더 크다. 4) 오른손-가슴으로 감전될 경우 왼손-가슴일 때보다 위험하다. 정답 3번 해설 1. 통상적으로 감전은 직류보다 교류가 위험하다. 2. 감전 시 주파수는 고주파수보다 인간의 심장맥동주기(80Hz)와 비슷.. 2022. 7. 15.
[안전보건공단 - 산업안전보건교육] 화재 등 재난관리 : 정답 및 해설 4탄 1. 응급처치체계 구축 및 관리에 대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1) 사업장 특성에 맞게 응급처치 조직을 결성하여 지휘책임자를 지정하고, 업무를 분담한다. 2) 신고, 현장지휘, 지원요청 등 부서 간 협조체계 유지를 위해 비상연락망 및 통신망을 구축한다. 3) 인근지역의 의료기관 규모, 특별한 분야의 치료가능 여부, 이송거리 등을 파악하여 비치한다. 4) 밀폐공간작업자에 대하여 응급처치, 구조장비 사용법 등에 관하여 연 1회 이상 훈련을 실시한다. 정답 4번 해설 밀폐공간작업 근로자의 경우 응급처치, 비상 연락체계 운영, 구조용 장비의 사용방법 등에 관해 6개월에 1회 이상 훈련하여야 한다. 2. 재해상황별 초기 대응요령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감전 - 즉시 전원 차단 2) 화재 - 소화기로 초기 .. 2022. 7. 12.
[안전보건공단 - 산업안전보건교육] 화재 등 재난관리 : 정답 및 해설 3탄 1. 수계소화설비의 가송송수장치 중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가압송수장치는? 1) 고가수조방식 2) 압력수조방식 3) 가압수조방식 4) 펌프방식 정답 4번 해설 고가수조방식, 압력수조방식, 가압수조방식, 펌프방식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펌프를 이용한 가압송수장치를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2. 수원의 규정 방수 시간으로 옳은 것은? 1) 29층 이하 : 20분 2) 30~39층 : 30분 3) 40~49층 : 50분 4) 50층 이상 : 70분 정답 1번 해설 30~49층 : 40분 50층 이상 : 60분 3. 알칼리 금속 등의 화재 발생 시 소화설비로서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물 분무 소화설비 2) 팽창질석 3) 건조소화분말 4) 건조사 정답 1번 해설 알칼리금속은 금수성물질이므로 물분무.. 2022. 7. 11.
[안전보건공단 - 산업안전보건교육] 화재 등 재난관리 : 정답 및 해설 2탄 1. 물분무소화설비 설치장소로 부적합한 것은? 1) 특수가연물 저장·취급장소 2) 차고·주차장 3) 위험물저장탱크 4) 표면온도 260℃ 이상인 기계장치실 정답 1번 해설 운전시에 표면의 온도가 260℃ 이상으로 되는 등 직접 분무를 하는 경우 그 부분에 손상을 입힐 우려가 있는 기계장치 등이 있는 장소에는 물분무헤드를 설치해서는 안 된다. 2. 비상조치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주민홍보계획 2) 피해예방조치 3) 피해자 구조·응급조치 절차 4) 외부기관과의 통신과 협력체계 정답 2번 해설 비상조치계획은 손상이나 손실을 가져오는 예기치 못한 사건과 화재·폭발·화학물질 누출 등의 사고에 대한 완화·제어 조치, 피해 최소화를 뜻하는 넓은 범위의 활동을 포함한다. 3. 비상대피계.. 2022. 7.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