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무직근로자2

[안전보건공단 - 산업안전보건교육] 산업보건1 : 사무직근로자 보건관리 (답안 해설) 3탄 1. 사무실의 오염물질별 공기질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옳지 못한 것은? 1) 미세먼지,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는 연 1회 이상 측정하여 관리한다. 2)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연 1회이상 측정하고 신축건물은 입주 전 측정한다. 3) 총 부유세균, 오존은 연 1회 이상 측정하되 업무시간 외에 시료를 채취한다. 4) 석면 포함설비 보수 후 입주 전에는 6시간 이상 연속측정을 하여야 한다. 정답 3번 해설 총 부유세균, 이산화질소, 오존은 연 1회이상 측정하되 업무시간동안에 시료를 채취하여 공간 내 근로자에게 영향이 미치는 정도를 파악하여야 한다. 2. 비말감염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감염자의 재채기, 기침등으로 비말되어 다른 사람의 입이나 코로 들어가 감염 유발 2) 통상 2m까지 퍼지므로 감.. 2022. 7. 7.
[안전보건공단 - 산업안전보건교육] 산업보건1 : 사무직근로자 보건관리 2탄 1. 유해요인조사 흐름도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부담작업 파악?유해요인조사-유해도평가-개선 2) 유해요인조사-유해도평가-부담작업 파악-개선 3) 유해도평가-유해요인조사-부담작업 파악-개선 4) 부담작업 파악-유해도평가-유해요인조사-개선 정답 1번 해설 유해요인조사 실시 전 부담작업 여부를 파악하며, 유해요인 조사-유해도평가-작업환경개선의 순서로 실시한다. 2. 근골격계질환 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법에 의한 임시건강진단에서 근골격계질환자가 발생하면 수시조사를 실시한다. 2) 유해요인조사는 반드시 외부 전문기관의 전문가에게 의뢰해야 한다. 3) 작업상황 및 조건에 대한 조사와 근골격계질환 증상조사를 모두 실시하여야 한다. 4) 정기조사는 최초 유해요인조사 실시 후 .. 2022. 5.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