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무스트레스3

[안전보건공단 - 산업안전보건교육] 산업보건1 : 사무직근로자 보건관리 (답안 해설) 3탄 1. 사무실의 오염물질별 공기질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옳지 못한 것은? 1) 미세먼지,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는 연 1회 이상 측정하여 관리한다. 2)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연 1회이상 측정하고 신축건물은 입주 전 측정한다. 3) 총 부유세균, 오존은 연 1회 이상 측정하되 업무시간 외에 시료를 채취한다. 4) 석면 포함설비 보수 후 입주 전에는 6시간 이상 연속측정을 하여야 한다. 정답 3번 해설 총 부유세균, 이산화질소, 오존은 연 1회이상 측정하되 업무시간동안에 시료를 채취하여 공간 내 근로자에게 영향이 미치는 정도를 파악하여야 한다. 2. 비말감염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감염자의 재채기, 기침등으로 비말되어 다른 사람의 입이나 코로 들어가 감염 유발 2) 통상 2m까지 퍼지므로 감.. 2022. 7. 7.
[안전보건공단 - 산업안전보건교육] 산업보건1 : 사무직근로자 보건관리 2탄 1. 유해요인조사 흐름도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부담작업 파악?유해요인조사-유해도평가-개선 2) 유해요인조사-유해도평가-부담작업 파악-개선 3) 유해도평가-유해요인조사-부담작업 파악-개선 4) 부담작업 파악-유해도평가-유해요인조사-개선 정답 1번 해설 유해요인조사 실시 전 부담작업 여부를 파악하며, 유해요인 조사-유해도평가-작업환경개선의 순서로 실시한다. 2. 근골격계질환 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법에 의한 임시건강진단에서 근골격계질환자가 발생하면 수시조사를 실시한다. 2) 유해요인조사는 반드시 외부 전문기관의 전문가에게 의뢰해야 한다. 3) 작업상황 및 조건에 대한 조사와 근골격계질환 증상조사를 모두 실시하여야 한다. 4) 정기조사는 최초 유해요인조사 실시 후 .. 2022. 5. 4.
[안전보건공단 - 산업안전보건교육] 산업보건1 : 사무직근로자 보건관리 1탄 1. 장시간 서있거나 앉아있는 경우 정맥의 압력이 높아져 정맥벽과 판막이 손상되어 심장으로 흘러가던 혈액이 역류되면서 늘어난 정맥이 피부 밖으로 보이게 되는 질병을 무엇이라 하는가? 1) VDT 증후군 2) 하지정맥류 3) 심장부동맥 4) 고지혈증 정답 2번 해설 하지정맥류는 주로 간호사, 교사, 스튜어디스, 운전기사 등에게서 발병하며, 종아리에 구불구불한 실핏줄이 튀어나와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2.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을 수립·시행해야 하는 사업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근골격계질환으로 업무상질병 승인을 받은 근로자가 연간 10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 2) 근골격계질환으로 업무상질병 승인을 받은 근로자가 연간 5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으로 발생 비율이 근로자 수의 10%가 이상인 경우.. 2022. 4.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