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물분무소화설비 설치장소로 부적합한 것은?
1) 특수가연물 저장·취급장소
2) 차고·주차장
3) 위험물저장탱크
4) 표면온도 260℃ 이상인 기계장치실
정답 1번
해설 운전시에 표면의 온도가 260℃ 이상으로 되는 등 직접 분무를 하는 경우 그 부분에 손상을 입힐 우려가 있는 기계장치 등이 있는 장소에는 물분무헤드를 설치해서는 안 된다.
2. 비상조치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주민홍보계획
2) 피해예방조치
3) 피해자 구조·응급조치 절차
4) 외부기관과의 통신과 협력체계
정답 2번
해설 비상조치계획은 손상이나 손실을 가져오는 예기치 못한 사건과 화재·폭발·화학물질 누출 등의 사고에 대한 완화·제어 조치, 피해 최소화를 뜻하는 넓은 범위의 활동을 포함한다.
3. 비상대피계획의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상사태의 예방
2) 비상사태의 통제
3) 비상사태의 억제
4) 비상사태의 확대 전파
정답 1번
해설 비상대피계획의 목적은 비상사태의 통제와 억제에 있으며 비상사태의 발생은 물론 비상사태의 확대 전파를 저지하고 그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있다.
4. 비상통제소에서 구비해야하는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적절한 수의 통신수단
2) 방송 설비
3) 비상조치기관의 명부
4) 교육자료
정답 4번
5. 사업장에 비치하여야 하는 필수 구급용구로 법에 명시되어 있는 품목이 아닌 것은?
1) 핀셋, 반창고 등 붕대재료
2) 외상에 대한 소독약
3) 지혈대 및 부목
4) 진통제 등 의약용품
정답 4번
해설 법에 명시된 구급용구에는 탈지면 핀셋 및 반창고 등의 붕대재료와 지혈대, 부목 및 들것, 외상에 대한 소독약, 그리고 고열취
6. 사업장 내 구급용구 구비와 관련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구급용구는 모든 작업자가 사용하는 것으로 별도 관리자를 지정하지 않아도 된다.
2) 구급용구는 건강관리실에 비치하고, 청결한 관리가 어려운 현장에 비치하여서는 안된다.
3) 일반적인 구급함을 비치할 경우 부목 및 들것 등을 별도 구매하여 함께 구비하여야 한다.
4) 법에서는 구급용구의 비치장소, 사용방법에 대하여 관리자에게 고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정답 3번
7. 산업현장에서 화재 및 폭발로 인한 산업재해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다음중 화재를 발생시킬 수 있는 3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산소
2) 가연물
3) 점화원
4) 질소
정답 4번
해설 질소는 불활성가스이다.
8. 소화 방법 중 열이 계속적으로 발생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방법인 것은?
1) 냉각소화
2) 질식소화
3) 제거소화
4) 억제소화
정답 1번
해설 냉각소화는 열이 계속적으로 발생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방법임
9. 소화기구가 아닌 것은?
1) 옥내소화전
2) 소화기
3) 간이소화용구
4) 자동확산소화기
정답 1번
해설 소화기구의 종류에는 소화기, 간이소화용구, 자동확산소화기가 있음
10. 소화용수가 상시 채워져 있는 배관에 폐쇄형헤드가 부착되어 화재시 열로 인하여 헤드가 개방되면 즉시 방수되도록 하는 스프링클러시스템은?
1) 습식스프링클러설비
2) 건식스프링클러설비
3) 준비자동식스프링클러설비
4) 일제살수식스프링클러설비
정답 1번
해설 습식스프링클러시스템은 소화용수가 상시 채워져 있는 배관에 폐쇄형헤드를 부착하여 화재의 열로 인하여 헤드가 개방되면 즉시 방수된다.
'건설 안전 > 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보건공단 - 산업안전보건교육] 화재 등 재난관리 : 정답 및 해설 4탄 (0) | 2022.07.12 |
---|---|
[안전보건공단 - 산업안전보건교육] 화재 등 재난관리 : 정답 및 해설 3탄 (0) | 2022.07.11 |
[안전보건공단 - 산업안전보건교육] 산업보건1 : 사무직근로자 보건관리 (답안 해설) 3탄 (0) | 2022.07.07 |
[안전보건공단 - 산업안전보건교육] 화재 등 재난관리 : 정답 및 해설 1탄 (0) | 2022.07.05 |
[안전보건공단 - 산업안전보건교육] 건설안전2 : 거푸집동바리 작업안전과정 3탄 (0) | 2022.07.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