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작업발판 중 작업대의 설치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작업대에 재료가 놓여 있더라도 통행을 위해 최소 10cm 이상의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2) 작업대의 바닥재 폭은 24~50cm로, 이동하기에 충분한 너비를 지녀야 한다.
3) 작업대의 바닥재 간의 간격을 10cm 이상 넓게 확보하여 자재를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4) 작업대를 경사지게 설치할 경우 경사각은 최대 70˚까지 가능하다.
정답 2번
해설 1. 작업대에 재료가 놓여 있더라도 통행을 위해 최소 20cm 이상의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3. 작업대의 바닥재 간격은 3cm이하로 하여 틈새로 발이 빠지거나 공구 등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4. 작업대의 경사각은 최대 30˚까지 가능하다.
2. 산업안전보건법의 해석 상 통상적으로 고소작업의 기준이 되는 높이는 얼마인가?
1) 2m
2) 3m
3) 4m
4) 5m
정답 1번
해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이라 함은 2m이상의 높이에서 작업하는 것을 말한다.
3.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서포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파이프 서포트를 3개 이상 이어서 사용하지 않도록 할 것
2) 파이프 서포트는 2~10개 사이 개수를 이어 사용할 것
3) 파이프 서포트를 이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4개 이상의 볼트 또는 전용철물을 사용하여 이을 것
4) 높이가 3.5미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평연결재 연결 조치를 할 것.
정답 2번
해설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 서포트에 대해서, 파이프 서포트를 3개 이상 이어서 사용하면 안된다.
4. 시스템동바리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재의 과다투입을 방지할 수 있다.
2) 거푸집의 연결이 확실하다.
3) 비용이 많이 든다.
4) 부재가 복잡하여 시공이 어렵다.
정답 4번
해설 4. 시스템동바리는 부재가 단순하여 시공이 용이하다.
5. 다음 중 콘크리트 공사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굴착 작업
2) 거푸집 작업
3) 철근 작업
4) 콘크리트 타설작업
정답 1번
해설 굴착 작업은 콘크리트를 붓기 전, 실행한다
6. 동바리로 사용하는 강관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강관틀과 강관틀 사이에 교차가새를 설치할 것
2) 최상층 및 5층 이내마다 거푸집 동바리의 측면과 틀면의 방향 및 교차가새의 방향에서 5개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설치할 것
3) 멍에 등을 상단에 올릴 경우 멍에는 고정시키지 말 것
4) 최상층 및 5층 이내마다 거푸집동바리의 틀면의 방향에서 양단 및 5개틀 이내마다 교차가새의 방향으로 띠장틀을 설치할 것
정답 3번
해설 멍에 등을 상단에 올릴 경우 해당 상단에 강재의 단판을 붙여 멍에 등을 고정시켜야 합니다.
7. 시스템동바리에 작용하는 하중과 그 설명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고정하중 - 철근콘크리트, 거푸집 등이 지니는 자체적인 무게
2) 수평하중 - 작업진행에 따른 시공하중과 충격하중의 합
3) 콘크리트 측압 - 콘크리트타설 시 유동성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방향의 압력
4) 특수하중 - 비대칭 타설 시 편심, 장비, 진동, 마찰 등에 따른 하중
정답 2번
해설 작업진행에 따른 자재, 공구 등의 시공하중과 충격하중의 합은 작업하중에 대한 설명이다.
8. 용접으로 일체화시켜 생산한 주틀과 경사재 등을 현장에서 조립하여 거푸집을 지지하는 동바리를 ( )라고 한다.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로 알맞은 것은?
1) 윙서포트
2) 보형태동바리
3) 강관틀동바리
4) 강관동바리
정답 3번
해설 용접으로 일체화시켜 생산한 주틀과 경사재 등을 현장에서 조립하여 거푸집을 지지하는 동바리는 강관틀동바리이다.
9. 시스템 동바리의 주요 역할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자체무게 및 작업하중 지지
2)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작업발판
3) 거푸집 변형 억제
4) 구조물 형상유지 및 규격확보
정답 2번
해설 시스템동바리는 거푸집의 형상을 고정시켜주는 핵심부재로 구조물 전체의 안정성을 확보해주는 역할을 한다. 시스템동바리의 설치 및 해체 작업 시에는 비계 등 안전한 작업발판을 설치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10. 콘크리트 반입, 운반 공정의 작업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콘크리트 노출부 표면 마무리
2) 레미콘 트럭으로 콘크리트 반입
3) 버킷 또는 콘크리트 타설용 호스 설치
4) 타설장소까지 운반
정답 1번
해설 콘크리트 노출부 표면 결함을 제거하고 마무리하는 것은 콘크리트 타설, 다짐 공정에서 수행한다.
'건설 안전 > 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보건공단 - 산업안전보건교육] 건설안전2 : 거푸집동바리 작업안전과정 2탄 (0) | 2022.04.13 |
---|---|
[안전보건공단 - 산업안전보건교육] 건설안전1 : 비계작업 안전과정 교육 2탄 (0) | 2022.04.08 |
위험성평가 법적 근거 및 실시 주체 (0) | 2022.03.24 |
[안전보건공단 - 산업안전보건교육] 건설안전1 : 비계작업 안전과정 교육 1탄 (0) | 2022.03.15 |
[안전보건공단 - 산업안전보건교육] 산업안전2 : 숲가꾸기 작업안전과정 교육 1탄 (0) | 2022.03.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