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보건공단13

[안전보건공단 - 산업안전보건교육] 산업보건1 : 사무직근로자 보건관리 1탄 1. 장시간 서있거나 앉아있는 경우 정맥의 압력이 높아져 정맥벽과 판막이 손상되어 심장으로 흘러가던 혈액이 역류되면서 늘어난 정맥이 피부 밖으로 보이게 되는 질병을 무엇이라 하는가? 1) VDT 증후군 2) 하지정맥류 3) 심장부동맥 4) 고지혈증 정답 2번 해설 하지정맥류는 주로 간호사, 교사, 스튜어디스, 운전기사 등에게서 발병하며, 종아리에 구불구불한 실핏줄이 튀어나와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2.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을 수립·시행해야 하는 사업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근골격계질환으로 업무상질병 승인을 받은 근로자가 연간 10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 2) 근골격계질환으로 업무상질병 승인을 받은 근로자가 연간 5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으로 발생 비율이 근로자 수의 10%가 이상인 경우.. 2022. 4. 29.
[안전보건공단 - 산업안전보건교육] 건설안전2 : 숲가꾸기 작업안전 2탄 1. 개인의 특성 중 내적통제소재가 높은 사람에게 나타나지 않은 것은? 1) 자신의 주변에서 일어난 일들은 우연이라고 믿는다. 2) 어떤 일의 결과는 자신에게 책임 있다고 믿는다. 3) 어떤 사건의 원인이 자신의 노력이나 능력에 있다고 생각하고 그것을 자신이 통제할 수 있다고 믿는다 4) 좀 더 적극적이고 건설적인 방향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경향이 있다. 정답 1번 해설 외적통제소재가 높은 사람은 자신의 주변에서 일어난 일들이 우연이나 운명같은 외부요인에 의한 것이라고 믿는다. 2. 근골격계부담작업을 수행하는 근로자에게 알려줘야하는 유해성 주지의 내용이 아닌 것은? 1) 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요인 2) 근골격계질환의 징후와 증상 및 질환 발생 시 대처 요령 3) 올바른 작업자세 및 작업도구, 시설의 올바른 .. 2022. 4. 15.
[안전보건공단 - 산업안전보건교육] 건설안전1 : 비계작업 안전과정 교육 3탄 1. 달대비계 작업 시 안전관리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재 등을 과적하지 않도록 교육 및 관리 2) 내구성과 안전을 위해 강철 등 무겁고 튼튼한 재료로 제작 3) 알루미늄, 철재 등 견고한 재료 사용 4) 작업위치, 작업방법, 적재하중 등 구조 검토 후 설계 도면에 따라 제작 정답 2번 해설 달대비계는 운반이 용이하도록 경량으로 제작해야 한다. 2. 말비계 취급 상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사전점검으로 각 부재가 변형 또는 손상된 것은 사용하지 않는다. 2) 발판 밖으로 몸을 빼고 작업할 때는 아웃트리거를 설치한다. 3) 말비계 하단부는 미끄럼방지 조치를 실시하고 확실히 고정한다. 4) 발판 위에는 동시에 두 사람 이상 올라가서 작업하지 않는다. 정답 2번 해설 전도.. 2022. 4. 15.
[안전보건공단 - 산업안전보건교육] 건설안전1 : 비계작업 안전과정 교육 2탄 1. 달대비계 작업 시 안전관리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재 등을 과적하지 않도록 교육 및 관리 2) 내구성과 안전을 위해 강철 등 무겁고 튼튼한 재료로 제작 3) 알루미늄, 철재 등 견고한 재료 사용 4) 작업위치, 작업방법, 적재하중 등 구조 검토 후 설계 도면에 따라 제작 정답 2번 해설 달대비계는 운반이 용이하도록 경량으로 제작해야 한다. 2. 말비계 취급 상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사전점검으로 각 부재가 변형 또는 손상된 것은 사용하지 않는다. 2) 발판 밖으로 몸을 빼고 작업할 때는 아웃트리거를 설치한다. 3) 말비계 하단부는 미끄럼방지 조치를 실시하고 확실히 고정한다. 4) 발판 위에는 동시에 두 사람 이상 올라가서 작업하지 않는다. 정답 2번 해설 전도.. 2022. 4. 8.